•링컨의 땅에 세워진 학교들 2013

남편과 나는 지난 주 남부 테네시주(州)를 시점으로 중서부 일리노이주를 거쳐 미시간주(州)까지 자동차 여행을 했다. 일리노이를 지나는데 ‘•링컨의 땅’이라는 팻말이 있었다. 처음으로 그런 싸인이 고속도로에 있는 것을 본 것이다. ‘•링컨의 땅’이라…

미국은 각 주(州)마다 특징에 따라 별명이 있다. 예컨대 캘리포니아의 또 다른 이름은 ‘골든 스테이트’다. 주(州)의 닉네임대로라면 남편과 나는 ‘봉사자의 주(테네시)’부터 북상해서
‘대호수의 주(미시간)’까지 ‘링컨(대통령)의 땅(일리노이)’을 거쳐 여행을 한 셈이다.

테네시의 별명은 예상외였다. ‘봉사자의 주’라니? 테네시주 멤피스에는 로큰롤의 왕, 엘비스 프레슬리의 저택인 ‘그레이스랜드’가 있다. 전세계에서 수많은 방문객들이 찾기 때문에 ‘엘비스 프레슬리의 주’라고 불려야 타당할 듯 싶은데, ‘봉사자의 주’라고 불리는 데는 이유가 있다.

1812년 독립전쟁 때 테네시 주민들이 많은 전쟁 사상자들을 자진해서 돌보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이번 여행에서 우리 부부가 새삼 생각하게 된 것은 ‘링컨의 땅’이라는 일리노이주의 별명이다.

켄터키에서 태어난 •링컨 대통령은 정치의 본거지를 일리노이로 삼았다. 링컨 대통령이 남북전쟁을 종결짓고 노예들을 해방시킨 위대한 사람이라는 것은 세상이 다 아는 훌륭한 업적이다.

이에 버금가는 또 하나의 업적이 있다면 그가 승인했던 ‘모릴 법안(Morill Act)’이었다.

모릴 법안은 발의자인 저스틴 스미스 모릴 하원의원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원래 명칭은 ‘모릴 토지-보조연구자금 단과대학 법안(Morrill Land-Grant Colleges Act)’이다. 주립대학의 건립을 쉽게 했던 법으로 상하의원의 각 지역구 당 3만에이커의 국유지를 아무런 대가 없이 주고 그 토지에 대학을 설립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당시 미국은 남북전쟁에서 많은 젊은 층을 잃었다. 경제는 나빳고 살아 돌아온 젊은이들에게 고등교육을 싸게 시킬 방안이 필요했다. 기계공업이 세상을 바꾸려 꿈틀거리고 있었던 때이기도하다.

막대한 국가소유의 땅을 공짜로 나누어 주자는 법안의 통과는 쉽지 않았지만 결국 관철되었다. 인준된 이후에는 몇 차례 수정과정을 거쳤다. 교육자금이 모자라는 경우 받은 땅을 팔아 쓸수 있게도 했다.

이번 여행에서 들렸던 일리노이 대학도 그 혜택을 받은 대학이다. 정부에서 받은 48만 에이커의 땅 중 38만 에이커를 1867년에 에이커 당 66센트에 팔아 ‘공업 대학’으로 시작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 법에 의해 미 전역에 106개의 주립대학이 건립됐다. 사립학교도 모릴 법안의 혜택을 받았는데 코넬대학과 MIT 대학도 그 예다. 미국 고등교육의 토대를 닦은 모릴법은 아직도 미국 독립 이후 제정된 법안 중 가장 생산적인 법으로 평가받는다.

모릴법의 통과는 국민 교육이라는 대전제에 공감한 ‘통합의 정치’ 덕분에 가능했다. 비록 일년 정도밖에 정규교육을 받지 못했지만 뛰어난 •리더십을 발휘했던 •링컨 대통령, 끈기 있게 법안의 필요성을 외친 모릴 상원의원, 이에 공감했던 동료 정치인들이 만든 위대한 역사다.

훌륭한 자양분이 밑거름된 ‘•링컨의 땅’에 단풍은 퍽이나 아름다웠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