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하는 일의 성격상 심심찮게 출장을 하며 살아왔다. 트래·픽으로 힘든
것을 제외하고는 개인적으로 볼 때 나는 출장을 마다하지 않았다. 집이나 오·
피스를 떠나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을 갖기도 하고, 길에서 벌어지고 있는 구경
거리, 지방색이 다른 환자들을 만나면서 배우는 것도 많았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 개인적으로 출장가기 좋아하는 곳이 있었다. 가깝게 지내는 항암
전문 여의사인 조운이 일 하는 곳으로 그녀는 봉사활동 차원에서 자신이 훈련
시키고 있는 도우미견을 데리고 출근하곤 했다.
도우미견들은 엘리베이터 타는 연습, 많은 사람들을 지나처도 흥분하지 않
는 훈련등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훈련이 끝나면 도우미견들은 시험을
치러야 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합격하면 그녀를 떠나 평생 도와주어야 할 새 주인의 집으로 입양된다. 보
통 시각장애인들에게 가게 된다. 무슨 이유에서든 시험에 떨어지면 일반가정
에 입양되는데 입양신청 가정들이 줄 서서 기다릴 만큼 낙제생 도우미견들은
인기라고했다.
암 환자들의 복잡하고 애타는 이야기에 지칠 때 나는 조운의 사무실로 가서
강아지와잠시 놀곤했다. 그래서 간호사들은 나를 어디서 찾을지 금방 알았다.
훈련중이니까 도우미견들은 어리다. 강아지들의 눈은 순하고 아름답다. 양순
한 이 녀석들과 놀다 보면 앤돌·핀이 돌곤한다.
조운의 도우미 강아지는 그녀의 많은 암환자들에게 잠깐이지만 밝은 순간
을 제공하곤 했다.
정오가 되면 조운과 나는 다분야 전문인들이 케이스들을 의논하는 회의에
가야했다. 이 때마다 조운은 내가 도우미 강아지의 끈을 갖도록 양보하곤 했다.
우리는 다른 빌딩으로 이 도우미 견공과 같이 산책하며 걸어가야 했다. ‘훈련
중인 개’라는 조끼를 입은 도우미 견공은 잔디에서 실례도 하고 냄새도 맡으며
시간을 소비하지만 내가 본 것은 이 도우미 견공을 지나치는 환자들, 병원 직원
들이 모두 미소를 짓는다는 사실이었다.
세계적으로 알려진 텍사스에 있는 엠 디 엔더슨 암치료 센터에서는 ‘도우미
동물을 이용한 치료’ 프로그램을 갖고 있다. 샌디에이고 동물원에서는 개 고양
이가 아닌 다른 동물들을 ‘동물원 특사’라는 이름을 붙여 이러한 기관으로 나
들이 하게끔 한다.
훈련을 받고 뽑힌 도우미 동물들과 환자들의 실제적인 접촉 즉 동물을 만지
고 쓰다듬으로써 주는 정서적인 교류는 능동적 에너지를 갖게하여 회복을 빨
리 해야겠다는 어떤 동기를 은연 중에 기여한다고한다.
청소년 교도소에서도 이러한 프로그램이 있어 범죄 청소년들이 차갑고 분
리된 감정의 테두리에서 벗어나 감성적, 정서적인 치유를 유도할 수 있다고 한
다. 사회를 향한 증오감보다는 사랑도 의미 있는 것이라는 것을 받아들이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앞으로 훈련 중인 도우미 견공들을 볼 수 없게 되었다. 조운이 시기보다 일
찍 은퇴하기로 하였기 때문이다. 그녀는 아프리카에 평화 봉사단 멤버로 가서
에이즈 교육과 치료에 참여하기로 결정하고 떠났다.
도우미 견공만큼 조운도
아름답고도 예리한 눈을 가졌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Great blog I enjoyed rreading
좋아요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