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도 숨 쉬기가 참 힘들겠다.’ 새벽 달이 무척이나 밝다. 엄숙할 정도로 아름다운 정적도 부질없다는 생각에 빠졌다. 부당하게 이루어지는 일들, 잔인하게 마구 다루어지는 생명들, 목숨을 빼앗기고 뺏는 사람들, 그리고 그 가족들을 생각하며 내가 속으로 뇌인 말이다.
‘두 번은 없다. 지금도 그렇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아무런 연습없이 태어나서 아무런 훈련없이 죽는다.'(비스•라와 쉼보르스카 詩 ‘두번은 없다’)
그렇다. 두 번의 삶은 없다. 아무것도 똑 같은 것은 없고 똑 같이 반복되지 못한다. 그런데도 인간들은 서로를 죽이기 위해 무기를 만들었다. 미국은 개인이 총을 소유할 자유를 허락한다. 총으로 인한 폭력으로 많은 사람들이 두 번이 없는 귀한 삶을 잃는다. 그 뿐이랴 살아남은 사람들은 육체적인 후유증을 견뎌내야 생명을 부지할 수 있다. 정신적 고통은 차후라고 치더라도.
오늘 나는 최근 하버드 의과대학 브리검 위민스 병원 안에서 일어난 총격 살인 사건에 대해 쓰려고 한다. 2015년 1월 21일 총을 소지한 범인은 여러 출입구를 지나 그가 죽이기로 계획한 의사의 클리닉에 도착했다. 아무도 그가 총을 소지했는지 몰랐고 그를 저지한 사람은 없었다. 오피스로 인도된 얼마 후 두 발의 총성이 울렸다.
일곱 시간의 응급 처치도 의사를 살리지 못했다. 그 의사를 살리려 애썼던 동료 의사들은 세상이 우러러 보는 명의들이었고 그가 응급 수술을 받던 곳은 세계적 석학들을 만들어 낸 하버드 브리검 위민스 병원이었다. 학부, 의과대학을 거쳐 10년이라는 세월을 흉곽 세부 혈관 수술 전문 분야 수련 및 연구로 보냈던 44세의 이 의사는 짧은 생애를 남의 손에 잃었다. 살아있었더라면 그는 장래 많은 일을 했을 것이다. 그에게는 세 명의 아이들과 앞으로 태어날 아이가 있다.
이 사건은 여러 면에서 우리 사회의 신뢰와 서로가 지켜오던 기본적인 예의가 병들어 감을 보여주고 있다. 2013년 통계를 보면 인구 3억이 넘는 미국에서 1년에 약 100만명 정도가 폭력범죄의 희생자로 보고됐다. 이 중 1.2%가 살인 케이스이며 살인에 사용된 흉기는 대부분이 총이다.
이중에 병원 총격이나 병원 안에서의 살인 사건은 드물었다. 2000년부터 12년간 40개 주, 154곳의 병원에서 총격사건이 보고되었는데 총격으로 인한 희생자들을 보면 45%가 총을 쏜 당사자이고(보통 자살로 끝난다), 20%가 병원 직원이었다고 한다. 간호사 (5%), 의사(3%)는 대체적으로 적은 숫자였다.
해결 또는 예비 방책을 생각해 볼 때 먼저 떠오르는 것이 병원입구에 금속탐지기를 설치하는 일이다. 그러나 실질적인 어려움 때문에 가끔씩 문제가 터질 때마다 거론되었지만 채택되지 못했다. 공항 시큐리티를 통과하는 과정을 생각해 보면 상상이 간다.
지금 우리는 평범한 시민이 총기를 소유할 이유 또는 권리가 있는가에 대한 숙고를 해야 할 때다. 병원 총격사건을 떠나 일반 총격으로 인한 상해와 피해는 자동차 사고로 죽는 숫자와 비슷하다. 마•더존스라는 메거진은 미국이 2015년 이천억 달러를 총격 상해에 관련된 비용으로 썼다고 보고했다. 매일 천 이백만불이라는 거액이 우리들이 내는 세금에서 쓰여진다고한다. 정확한 통계는 NRA1 와 총소유 권리를 주장하는 사람들의 방해로 알 수 없다고 한다. 그러나 대충 87%의 소비액이 세금에서 충당되었다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총을 맞아 다친 사람들을 살려내야하는 의료비, 그들을 재활하는데 쓰는 인력, 재력, 또 경찰, 검찰등이 동원되어야 하고 재판을 해야 할 때까지 드는 소송비등 엄청나다. 이 가해자들을 처벌하고 감옥에서 먹여살리는 경비만도 50억불이라고 본다.
총기 소유를 금지한다면 이들에 대한 응급처치, 후유증 치료 등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의료계에서는 총기소유 금지법을 지지해 왔다. 그러나 NRA의 막강한 재력과 로비는 개인 총기소유를 막지 못하게 해 왔고 앞으로도 전망이 그리 밝지 않다.
그래서 우리는 악순환을 거듭해야 할 것이다. 숨겨진 사이코들은 정신치료를 거부한 채 일반 시민들과 섞여 살 것이고, 대형 병원들은 한 두 번의 응급대피 훈련으로 이런 사회문제를 이해했다고 자부하고 이슈를 덮을 것이다. 정치인들은 정치인이되기 위해서 •펀드를 만드는데 바쁠 것이다.
1. NRA: National Rifle Association 전미총기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