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군기자 마리 콜•빈(Marie Colvin): 거울을 보지 않고 창문을 열고 세상을 보았던 여인 2012

나이가 들어가면서 느끼는 것은 젊어서 실감하지 못했던 진리에 눈뜨게 된다는 아이러니다.

마치 세상이 변해 내가 알게 된 것 같은 착각을 하지만 사실 진리는 변함없이 그 자리에 있었다. 이제야 느낀 아이러니 중의 하나는 좁은 한계 속에 있는 나의 삶이다. 이 같은 생각을 하게 된 것은 시리아에서 종군 기자로 일하다가 전사한 영국 선데이 타임스 소속 마리 콜빈에 대한 기사 때문이다.

마리 콜빈 같은 기자들이 없었다면 나같은 사람이 어떻게 세상의 실상을 이해할 수 있었을까. 나는 내가 만든 좁은 세상 안에서 우물안의 개구리 처럼 그것이 전부인양 살아갔을 것이다.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는 직업 정신을 갖고 천직을 잘 수행하였던 여인이었다.

기자들이 우리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새삼 느낀다. 세계 방방곡곡에서 기자들은 가서 보고, 체험하고 세상을 알린다. 그 세상사라는 것은 바로 사람이, 자연이, 동물이 만드는 것이다. 암담한 전쟁뿐만 아니라 예술, 정치, 의학, 교육분야 등에서도 우리의 사고 범위를 넓게 해준다. 불현듯 그들의 역할을 다시 생각하게 되면서 감사한다.

되돌아보면 나는 미디어를 통해서 많은 것을 알게 되었다.

어렸을 때 당시 일어나고 있는 세상사를 뉴스로 들었고 비록 어렸지만 저녁 식탁에 둘러 앉아 세상사를 논하는 토론에 끼어들곤 했다. 큰오빠는 거의 집에 없었던 것으로 기억되는데 작은오빠와 언니는 AFKN 영어 라디오 방송을 듣곤했다. 어느 날 이 방송을 듣던 작은 오빠가 케네디 대통령의 암살 소식을 식구들에게 알렸다. •라이•프 메거진 사진으로 중국의 ‘붉은 혁명’을 실감나게 이해하기도 됐다.

기자들은 미국의 대통령이 행하던 부정을 사회에 고발했었고, 베트남 전쟁의 참혹상을 세상에 알렸다. 벌거벗은 채 폭탄을 피해 울며 달리고 있는 베트남 여자 아이의 사진, 머리에 총부리가 겨눠진 채 공포에 떨고 있는 베트콩의 얼굴 모습을 보도해 세상을 잠에서 깨어나게 했다. 아프리카 수단의 극심한 기아상태를 사진으로 보도했다.
언론은 우리들의 잠자고 있는 의식을 깨운다. 부정과 분쟁, 불공평, 사회폐단 등을 생각하게 한다. 그런 면에서 언론의 공로는 크다. 대표적인 기자가 마리 콜빈이다.

체첸(Chechen 또는 Chechnya), 코소•보(Kosovo), 시에라•리온(Sierra Leone), 짐바브웨(Zimbabwe), 스리•랑카(Sri Lanka), 동티모르(Timor-Leste) 등의 전쟁터에서 일어나고 있는참상을 보도했다. 전쟁은 인류에 대한 범죄임을 고발했던 마리 콜•빈이다. 왼쪽 눈을 스리랑카 내전을 보도하다가 잃었는데 성형수술을 하지 않고 검은 안대로 가리고 다녔다. 13년 전 동티모르 내전 때는 여자들과 아이들 1500명을 구명하는데도 기여했다고 한다.

AP통신은 마리 콜•빈을 2차대전 전후에 나치 다차우(Dachau) 강제수용소에 대한 보도를 했던 당시의 종군 여기자 마르•타 겔혼(Marta Gellhorn)에 비교해 치하했다. 마르•타 겔혼은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등의 소설로 우리에게도 친숙한 어네스트 헤밍웨이의 세번 째 부인이었다. 헤밍웨이도 젊었을 때는 기자였다.

영국의 한 여기자는 마리 콜•빈을 ‘거울을 들여다 보지 않고 창문을 통해 밖의 세상을 보았던 여인’이었다고 표현했다.

남들에게 비쳐질 내 자신에 연연하지 말고 창문을 열고 세상을 내다 보는 뜻있고 알찬 삶을 살아야겠다. 무모함이 그치지 않는 세상도, 평화를 이루는 세상도 결국 우리들이 만들어 가는 것이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