첸절링(The Changeling)

드디어 다 읽었다. ‘첸절링(The Changeling)’이라는 동화책을 내 달이면 8살이 되는 큰 손녀와 함께 읽는데 무려 두 달이 걸렸다. 내가 바쁘다 보니 손녀를 만나는 날이 없을 때도 많았기 때문이다. 엘에이 공립 도서관에서 빌린 이 책을 기간내에 돌려 줄 수 없어 세 번이나 반납일을 연장했었다. 이 책은 뉴 베리 어워드를 세번이나 탄 질•파 킷틀리 스나이더 (Zilpha Keatley Snyder)라는 작가가 1970년에 초판을 낸 책으로 크리스토퍼 상을 탄바있다. 독일과 영국에서도 출판 된 책인데 작은딸이 초등학교 때 열심히 읽으면서 울기에 나도 관심을 갖게 되어 읽었던 책이다. 삼 십 여년 전에 받았던 감동과는 달리 2016년에 다시 읽으니 요즘 트랜드에 잘 어울려 보이는 이야기 같지는 않았다. 그래도 큰 손녀에게는 흥미로웠던가 보다. 하루분의 페이지를 끝내면서 책을 덮자고 하면 늘 아쉬워 했으니까.

워낙 ‘첸절링’의 의미는 남 모르게 어린아이를 바꿔치거나 어린아이가 바꿔치기 당하는 것을 말 한다. 전설적 의미로는 요정이 예쁜 아이와 못나고 멍청한 아이를 바꿔치기 한다는 의미도 있다. 안젤리나 졸리가 출연한 영화 ‘첸절링’의 암담하고 음울한 내용이 이 말의 뜻을 잘 표현하고 있다.

책의 내용은 이렇다. 평범하고 부유한 변호사 집의 막내 딸 마르•타와 어려서 부터 보지 않아도 될 것들을 보고 열악한 환경에서 살고 있는 약간 조숙하고 상상력이 많은 아이비라는 초등학교 아이들의 이야기이다.

학교에서 받는 왕따는 아이•비에게만 있지 않았다. 서로의 우정, 신뢰, 배려를 통해 두 꼬마들은 함께 어려움을 이겨 나간다. 서로가 모르는 사이에 서로를 치유하고 있었다. 둘은 앞에 놓여진 크고 작은 장애물을 넘으면서 내적으로 성숙한다. 갑작스런 이별 후 각자가 선 자리에서 둘 다 진정한 자신을 찾기위한 외로운 삶의 여정을 잘 해 낸다.

다시 만나지 못하지만 편지에서 아이비는 마르따에게 말한다. ‘내가 첸절링이라는 것은 맞는 이야기야. 세상에는 첸절링이 많아. 아마 너도 첸절링 일거야. 네가 첸절링이라는 것에 놀라지 않아.’

이 동화가 뜻하는 ‘첸절링’ 은 육체적인 바꿔치기라기 보다 어쩜 요정이 바꾸어 놓고 간 음모적이고 부당하며 편견적인 환경안에서 사태를 이겨가며 자신의 본래의 모습으로 탈바꿈하게 된다는 뜻이 아닐까 내 나름대로 풀이하여 보았다.

책을 끝내면서 손녀에게 물었다. 너도 첸절링이 될것이냐고. 아이는 ‘아마…’ 하고 답했다. ‘그럼 할머니도 첸절링일까?’ 아이는 끄덕이며 미소 지어 주었다. 마르따와 아이비에게는 금방 눈에 띄지 않지만 뜻 있는 옹호자가 뒤에 있었다는 것을 손녀가 보게 해 주었다. 이야기를 경청해 주고 동생을 신뢰했고 의견을 줄 수 있었으며 솔직했던 마르•타의 오빠, 가난하고 무관심한 환경 속에 파뭍혀 있는 아이•비에게 꿈과 창작력을 잃지 않게 해 준 고모가 있었다. 마르•타의 오빠는 자신이 저지른 일을 털어놓는 것이 자신에게 커다란 피해가 오는 것을 알면서도 용기를 갖고 동생과 동생의 친구를 살피었다. 자신이 완벽한 아들이 아니기를 포기했던 것이다.

뒤 돌아보면 내가 ‘챈절링’이 될 수 있었던 것 또한 나를 옹호해 준 사람들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멋진 여성 전문인이 될 수 있다고 그 길을 보게 해 준 큰오빠, 전화 한 통으로 ‘빽’ 없던 나에게 다른 대학에서 수련의가 될 수 있게 해 주신 외과 교수님이 그들이다. 나는 그 대학병원에서 남편을 만났다. 어쩜 남편은 나를 ‘첸절링’이 되도록 가장 많이 그리고 오랫동안 응원해 온 사람이 아닌가 싶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