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친구, 돌팔이 아니야?’ 하는 분심이 들면서 겁이 왈칵 났어.” 의사인 친구가 말했다. 그가 레식 수술을 하러 간 날 안과의사가 친구의 어깨에 손을 얹고 함께 기도하자고 제안 했을 때 불안했다고 했다. 집도의사는 나의 친구가 의사인 줄 알고 있던 터였다.
주치의가 진찰이나 시술 전에 환자에게 함께 기도하자 한다면 환자의 입장에서는 여러가지 생각이 들 수 있을 것이다. 전능하신 창조자의 능력에 의지한다는 발제자의 뜻과 달리 불안감을 초래 할 수 있는 말미를 준다. 뭐라 꼭 짚을 수 없는 불안은 의사의 실력에 대한 의심에서 시작된다.
때로 환자들은 ‘선생님을 위해서 기도하고 싶습니다’고 말 한다. 이런 경우 ‘고맙습니다. 나는 특별한 은총이 필요한 사람입니다’라고 답한다. 그리고 ‘당신의 하느님께서 당신의 기도를 들어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덧 붙이기도 한다. 이것은 진심이다.
지난 달 폐암 4기의 환자가 의뢰되어 왔다. 진찰을 끝내고 치료 계획을 말해주기 위해 진찰실에서 컨퍼런스 방으로 자리를 옮겼다. 컨퍼런스 방은 작은 거실이다. 사무적인 분위기가 아니고 편안한 자세로 대화를 할 수 있는 공간이다. 이 환자는 아프리카 콩고 출신으로 절실한 개신교 신자였고 전교를 위해 세계 여러 나라를 간다고 했다. 자신의 믿음에 대해서, 자신의 조국 콩고에 대해서 말했다. 그녀는 칵테일 테이블을 가로질러 나에게 손을 내밀었다.내 두 손을 잡고 싶다고 말했다. 그리고 자기와 기도 하면 안 되겠느냐고 물었다. 그녀는 내가 가톨릭 신자라는 것을 알고 있는 터었다.
검고 거칠은 그녀의 손. 그녀는 눈을 감았다. 자신이 읊는 성서구절을 그대로 따라서 외우라고 말했다.
또 며칠 뒤, 나에게 자궁경부암 접근치료를 해 주어야 할 다른 환자가 의뢰되어 왔다. 이 환자는 깡마른 백인 할머니였다. 그녀는 ‘타임 아웃’이 끝나자 기도하고 싶은데 괜찮느냐고 물었다. 물론 나는 그리해도 된다고 허락했다. 그녀는 큰 소리로 병의 완치와 집도에 관련된 모든 사람의 축복을 빌었다. 기도 끝에 나는 그녀를 따라 소리내어 ‘아~멘!’ 했다. 옆의 간호사도, 물리학자도 ‘아멘!’ 했다. 그녀 역시 개신교 신자였다.
‘타임 아웃’이라는 말이 나왔으니 잠시 짚고 지나간다. 병원에서 환자를 다룰 때 ‘타임 아웃’ 과정은 참으로 중요하고 반드시 해야하는 부분이다. 운동경기 때 가끔 쓰이고, 때로 가정집에서는 아이들을 벌 줄 때 쓴다. 하던 일을 멈추고 조용히 있는다는 뜻이다. 운동경기 때는 하던 경기를 멈추고 새 전략을 짜기 위해 ‘타임 아웃’을 청구한다. 대체로 짧은 시간이다. 병원에서는 모든 하던 일을 멈추고 당면한 환자에 대한 사항을 확인하는 시간이다.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 생년월일은요? / ID 넘버는요? / 오늘 왜 여기에 있는지 말씀해 보세요’라고 환자에게 묻고 확인하는 시간이 ‘타임 아웃’이다.
기도를 요구하는 환자들을 한 달에 두번이나 경험하고 동료의사들은 어떻게 반응하는지 궁금했다. 컨퍼런스에서 짧은 설문조사를 해 봤다. 우리들은 의사가 기도 발의를 하는 것은 옳지 않지만 환자가 원할 때에는 종교가 나와 다르더라도 응해주는 것이 환자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는데 동의했다. 기도는 꼭 소리를 내서 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비록 내가 다른 종료, 모슬렘이나 불교 신자와 함께 기도했다고 노하실 만큼 하느님은 옹졸한 분이 아니시라는 것이 내 개인의 생각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