뽀뽀하지 마세요!

나는 ‘뽀뽀’를 하는 환경에서 자라지 않았다. 어렸을 때 내가 받은 ‘뽀뽀’라면 아버지가 거칠은 턱수염으로 뺨을 비벼 해 주시던 것이 전부이다. 반세기도 전의 일이다. 당시 아버지와 어머니가 함께 외출할 일이 있으면 아버지는 앞에서, 엄마는 한 삼십보 뒤어서 일렬 종대로 걸으시던 시대였다. 누가 보는 곳에서 뽀뽀를 하는 문화는 더더구나 아니었다.

한국에서 ‘뽀뽀’라는 말이 문학에 처음 등장한 것은 1939년 김유정의 ‘애기’라는 작품이라고 보고 있다. 어린이들에게 쓰이는 ‘입맞춤’의 유아어로 입맞춤 소리인 ‘뽀’가 둘이 모여 첩어가 되어 ‘뽀뽀’가 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설이 맞는 것 같다. ‘키스’라는 외래어는 그 보다 더 전에 한국 소설에 등장했다한다. 국어대사전에 뽀뽀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 것이 1961년이다.

어떻든 ‘뽀뽀’라는 한국말과 ‘키스’라는 영어는 의미가 같아야 할 터인데 왠지 나에게는 두 단어가 주는 뉘앙스가 다르다. ‘뽀뽀’라고 하면 주로 어린이들에게 해 주는 사랑의 표시라는 단순한 뜻이 전부라고 느껴지는 반면 같은 뜻을 외국어로 표시한 ‘키스’라면 성인들이 친구 또는 사랑하는 사람에게 행동으로 보여 주는 애정의 표현으로 느껴 진다. 내 해석이 좀 과도한지도 모르겠다.

이 세상에는 단순한 감정의 표시부터 깊은 유혹에 달 하는 20개 정도의 ‘키스’가 있다고 누가 정리해 놓은 것이 있다. 민족에 따라 스타일도 다르다. 또 입맞춤의 종류에 따라 의미도 다르다고 한다.

봄 방학이라 조부모님들이 손주들을 돌보아 주어야 할 경우가 많이 있을 것이다. 손주들을 돌볼 때, 아이들에 대한 사랑을 입에다 하는 ‘뽀뽀’로 하지 마시라고 부탁하고 싶다. 위생상 좋지 않기 때문에 아이들에 대한 예의가 아닌 것 같다.

‘뽀뽀’를 꼭 입술에 할 필요는 없다. 아이들의 뽈에, 이마에, 또는 머리에 가볍게 해 주는 것도 충분한 애정의 표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이가 좀 큰 경우라면 손시늉으로 하는 블로우 키스(blow kiss)로도 사랑의 마음을 전할 수 있다.

어른들의 입술이나 구강에는 정상균 무리가 살고 있다. 또 세계건강기구의 보도에 의하면 세계인구의 67% 정도 이상이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다고 한다. 이 바이러스에 감염 되면 증상완화는 가능해도 완치는 불가능하다.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우리들이 건강할 때는 잠복해 있다가 면역 씨스템이 약화 될 때 되 살아나서 입술이나 입안에 물집을 만들고, 이를 접촉하는 사람을 전염시킨다. 드물기는 해도 물집이 없는 경우에도전염이 된다. 임산부 생식기에 성병의 일종으로 보는 헤르페스 바이러스 (타입 1, 타입 2)에 감염된 경우를 생각해 본다. 분만시 산도를 통해 나오는 아기가 바이러스에 접촉되는 위험이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출산일 전에 미리 임산부를 치료한다. 이러한 치료가 없었던 시절에는 제왕절개를 했었다. 과거에는 신생아가 엄마의 산도를 통해 감염되어 뇌막염이나 뇌염에 걸리는심각한 경우가 있었던 것이다.

그 뿐 아니다. 증상이 없는 충치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여러가지 이유에서 입에대고 하는 ‘뽀뽀’ 뿐 아니라 식기, 수저 공유를 피해 주고, 내가 먹던 음식을 아이에게 먹이는 것도 피해 주는 것이 좋다. 이유식을 먹여야 하는 연령층 아이들에는 더더욱 지켜주어야 할 일 같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