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애국자인가?
육중해 보이는 동판 여러개가 벽에 걸려있다. 한국 이름, 영어 이름들이 동판의 가슴에 세겨져 있다. 지난 달 7월, ‘한국어 진흥재단’이 미국 정규공립 고등학교 행정가들을 인솔하여 한국을 방문했을 때, 서울 용산구 옛 육군본부 자리에 있는 ‘전쟁기념박물관’에 들렸다. 교장 중의 한 사람이 첫 줄에 ‘OO 사단’ 이라 써있는 동판앞에 서서 이름들을 읽어 내려 가고 있다. 바로 한국전에서 전사한 20여 만명의 한국군과 유엔군들의 이름이 새겨진 전사자명비였다. ‘누구를 찾으세요?’ 하고 물으니, ‘내 삼촌이요…’라고 대답한다. 삼촌에 대해 자세한 것을 알지 못한 그가 20여만명의 이름 속에 파뭍혀 있는 삼촌의 이름을 찾는 것은 불가능 한 일이었다. 나도 전사한 큰 오빠의 이름을 찾지 못했다. 그도, 나도 수 많은 이름들 앞에서 침묵했다. 우리는 서로에게 아무 말도 건네지 않았다.
한국민에게는 너무도 처절했던 육이오는, 내 모국이 조선시대 부터 겪은 27번의 전쟁중 하나로, 실상 영어권 사람들에게는 이차대전이나 월남전에 비해 ‘잊혀진 전쟁’이라 불릴 만큼 관심을 받지 못했던 전쟁이었다. 미국을 위시한 16개국이 유엔의 이름으로 실전에 참가해 주었고, 41개국은 장비, 의약품등 다른 종류의 원조를 주었다고 예비역 대령 출신이라는 백발의 자원봉사 안내원이 설명한다. 통털어 약 18만명이 죽고, 3만3천명이 행방불명, 57만명이 부상을 당한 전쟁이 ‘잊혀진 전쟁’이라니… 미국은 그 16개국 중에 가장 많이 자국의 젊은이들을 잃었다. 물론 남한은 미국 젊은이의 3.8배 되는 약 14만명이 전사했고, 4.4배 되는 45만명이 부상당했다. 이 통계는 군인에 한한 것인데, 일반인에 대한 대략의 숫자는 남한에서만 백만명이라 한다.
전쟁에 대한 강의를 경청하는 행정가들의 모습은 진지하고 엄숙했다. 전시품들은 신라 삼국통일 때의 것 부터, 임진왜란, 육이오를 망라하고 있었다. 모형거북선, 각종의 전투기, 탱크들, 문명이 발달하기 전에 쓰던 창과 칼들.
‘전쟁과 평화에 대한 리서치’ 를 하는 연구소가 스웨덴 업살라 대학, 핀랜드 오슬로의 평화연구원, 카나다 뱅쿠버의 사이몬 프레이저 대학에 있다. 이들의 자료를 보면2011년 한해동안 37개의 전쟁이 있었고, 현재진행형의 전쟁, 갈등으로 만명이상의 사상자를 낸 전쟁이 5개나 된다 했다. 1945년 부터 2012년 까지 만명 미만의 사상자를 낸 전쟁은 13개이다. 만명이상이 죽은 전쟁수는 많지 않다해도, 사상자의 숫자는 엄청나다. 이차대전만 보아도 사십만명이 되고, 3조 달러의 경제적 손실이 있었다.
열악한 역사 속에서도 한글이라는 위대한 글이 만들어 진 것에 교장들은 놀라워 하고, 존경심을 표했다. 누군가 말한 것 처럼, 일제강점기 동안, 한글말을 잃지 않고, 한글을 숨어서라도 배우고 써 왔기 때문에 한구인의 ‘얼’이 살아 남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세종대왕의 백성, 그 후손들이 지은 한글박물관은 웅장하고 멋있었다. 방문객 미국 교장들은 한글이 만들어진 과정에 대해, 짧은 시간 동안 받은 한국말 렛슨에서 알게된 수월함, 또 그 과학성에 놀라고 감탄했다.
한글이 세계언어로서 일차적으로 미국이라는 거대한 나라에서 체계적인 정규교육 방법으로 자리를 굳히는 것에는 이들의 관심과 응원이 필수적이다. 혈통, 비혈통을 막론하고 미국 중고교생들에게 한국어 반을 통한 한국어 클래스의 탄생내지는 존재여부를 그들이 최종 결정하기 때문이다.
한글날을 기해서 총영사관저 오찬에서 다시 교장들을 만날 것이다. 세종대왕께서 조선이 전부였던 당신 때 보다, 한글의 얼을 세계로 펴는 우리를 보시며, 당신을 닮았다 하시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