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 뉴스, 배드 뉴스

뉴욕의과대학이 미국 의과대학 씨스템에 혁신적인 폴리시 변경을 선포했다. 얼마나 멋있고 고마운 일인지, 희망스럽고 신나는 일이다. 뉴욕의대 부속병원이 ‘랭곤의과대학 병원’ (Elaine A and Kenneth G Langone Medical Center)이라 불리우게 만든 장본인, 켄 랭곤은 모든 의대생들이 공짜로 의과대학을 다닐 수 있도록 학자금을 전액을 면제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러한 폴리시가 연속되려면 6억불 (600 million) 이 필요한데 벌써 4억5천만 불이 모금되었고, 그 중 랭곤이 일 억 불을 이미 희사했다고 한다.

뉴욕의과대학의 일 년 학비는 5만5천불이다. 미국의 의사들은 의과대학을 졸업 할 때 쯤 되면 평균 이십 만 불의 빚이 싸인다. 빚에는 이자가 붙고, 가정을 꾸며야 하는 젊은 나이이다 보니 이에 필요한 생활비까지 감안해 볼때 빚을 쉬 갚아 버리기는 어렵다. 지금 미국에는 약 백만명의 의사들이 활동하고 있지만, 4천4백만 명의 의사들이 빚을 지고 있다. 총 1조 5억불에 달하는 금액이다.

켄 랭곤은 ‘홈 티포’의 공동창립자이다. 그의 아버지는 배관공, 어머니는 식당 직원이었다. 그는 풀타임 직장을 다니면서 뉴욕대학의 야간 비지니스 클래스를, 그것도 파트타임으로 수강했다. 그래서 뉴욕대학의 야간 비지니스 프로그램을 ‘랭곤 프로그램’이라고 부른다.

그가 자신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옮겨 다닌 직장은 꽤 많았다. 여기저기에서 창조적인 아이디어로 창업에 참여하거나 있는 사업체를 변형해 걸 맞는 최적사업으로 만들어 간 흔적들이 있다.

켄 랭곤에게 왜 그런 생각을 했느냐고 어느 앵커가 물었다. 그의 대답은 이랬다. 앞으로 5년 후면 미국에는 의사가 부족한 싸이클로 들어 갈 것이라고 본다. 무학자금 의과대학 수료는 그야말로 빚 없이 자유로이 의대 과정을 이수 하고, 수입에 상관하지 않고 원하는 전공분야를 택할 수 있게 사회환경이 바뀔 것이다. 덧 붙여서 그가 한 말이 슬프다. 그가 만났던 어떤 의사는 의과대학을 졸업을 한지 35년이 지나도록 학창시절의 빚을 다 갚지 못하고 있더라고 말이다. 의사들의 ‘빛 좋은 개살구’ 같은 삶의 단편을 보여주는 내용이었다.

앞으로 다른 의과대학들이 이에 동승해서 무-학자금 의과대학 씨스템으로 갈 수 있으면 좋겠다. 예상컨데 시간은 걸려도 그렇게 될 확률이 꽤 높다. 뉴욕의과대학에는 이 폴리시로 더 좋은 의사지망생들이 몰릴 것이고, 이가 염려되어 그리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이미 이 대학은 유능한 의사들을 많이 배출한바 있다. 그 중 소아마비 예방약을 만든 알버트 세이빈, 조나 설크가 대표적이다.

그런 굿뉴스가 있느냐 하면 배드뉴스도 있다. 여러 곳에서 동료의사들이 제 수명대로 살지 않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소식이다. 미국은 일 년에 의과대학 한 클래스 정도 또는 작은 의과대학이라고 칠 때 전교생에 달하는 숫자가 자살로 인해 사라져 버리는 비상사태에 처해 있다. 하루에 한 명 꼴로 의사들을 자살로 잃는다니 믿겨지지 않는다. 더 우려되는 것은 사망한 의과대학생들의 자살이 사고사 다음으로 많다는 것이다.

우울증을 자살의 주요 원인으로 추측한다. 우울증은 어디서 왔는가를 자문할 필요가 있다. 공부하기 위해 빌린 은행빚, 쌓여가는 빚 덩어리, 질적인 삶의 하락, 과로, 만성 피로, 수면부족, 작은 비판에도 예민한 완벽증, 과중한 학과 공부나 요구되는 막중한 임무 때문에 사그라져가는 소셜라이프…약물중독, 알콜중독..유전..아마도 복합적인 이유일 것이다. 함부로 해석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뉴욕의과대학 처럼 모든 의과대학이 무-학자금 조치를 취해 준다면 의사들의 자살로 인한 사망률이 줄어 들지도 모르겠다. 의사들의 써클 안에서의 자살이라는 병이 완치되지는 않겠지만 줄어는 들 것이다

굿 뉴스, 배드 뉴스”에 대한 답글 3개

  1. 참으로 예리한 관찰입니다. 저도 몇일전 그 뉴스를 접하고 감명받은 바 있었습니다만. 한달 전에 한 Pulmonologist 를 방문한 일이있는데, 환자가 저 하나 뿐 이더군요. 그 의사의 부인 또한 안과의사로 같은 사무실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두분의 의사 사무실에 환자라고는 나 한사람이 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receptionist 도 없었습니다. 돌아오면서 아니, 이런 환경에서 의과대학을 나와 어떻게 그 많은 학자금을 갚을수있을까, 걱정스러웠습니다. 전에 말씀드린바 있읍니다만, 저의 아들은 1987년에 의대를 졸업하고, 군의관으로 만 17년 근무하고, 년금도 없이 군 생활을 그만두고 나왔습니다. 이유인 즉, 군대 봉급 및 수당으로는, 아이 5명의 교육을 감당할수없다는 것이 였습니다. 지금 Virginia 주의 수도, Richmond 에서 정형외과의로 잘 하고있습니다. 애들도 마지막 하나가 금년에 Duke U 로 진학했고, 나머지는 모두 대학, 대학원을 마치고 사회의 일꾼으로 잘 들 하고있습니다. Langone 가의 뜻이 전국, 아니, 전 세계의 의과대학교육에 좋은 밑거름이 되어 인류에게 공헌할수있기를 진심으로 바라는 바 입니다. .

    좋아요

  2. 월화야 ,
    정말로 믿기지 않는 굿 뉴스 , 배드 뉴스구나 !

    미국이라는 나라의 어두운 구석이랄까,
    의대시절 빌린 학자금이 족쇄처럼 ,
    한 인간을 파멸로 몰아 가고 있다니 !

    이 글을 쓰고 있는 월화는
    의사의 본업만으로도 이미 그 성취를 다하고
    한국어진흥재단 이사장이라는 명함을 달고
    고국이 주는 자랑스런 공로상까지 받으려
    태평양을 건너 오고 있는데 ,

    그래도 그 배드 뉴스가 굿 뉴스를
    이끌어 내지 않았을까 ,
    월화가 어떤 심정으로 배드 뉴스를 썼을 지도 !

    좋아요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