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에서 비범으로, 비범에서 평범으로

 
누가 지금 나에게 ‘당신의 두 딸들이 어떻게 사는 것을 원하십니까?’ 하고 묻는다면, 나는 주저 없이 ‘필부로 살아가는 것을 바랍니다.’라고 답 할 것이다. 두 딸들은 엄마이고, 아내이며 전문직을 갖고 있다. 같은 질문을 아이들이 중학교를 다닐 때 받았다면 ‘비범하게 자라 줄 것을 원합니다.’ 했을 것이다.

나잇대에 따라 부모의 바람이 다르다니, 참으로 아이러니 한 마음 가짐이고, 부조리한 생각이 아닐 수 없다. 나의 부모님들도 나에 대한 바램이 성장과정 시기에 따라 변했을까 생각해 본다. 그런 것 같다. 부모님들은 초등학교 시절을 여느 아이들 처럼 아프지 않고, 튼튼하게, 밖에서 뛰 놀기도 하고, 한글도 익히고, 덧샘 뺄샘도 하고, 벽시계를 읽는 법도 이해 하면서 자라 주기를 바라셨을 터이지만 내가 중학교로 진학했을 때 부터는 고등교육의 비젼을 갖고 나를 바라보고 계셨던 것 같다.

내가 정규 고등교육을 끝내고 전문의사가 되고 난 후 당신들은 내가 힘들지 않게, 애쓰지 말고 평범하게 살아 갈 것을 바랐다. 도대체 이때의 부모님의 평범이란 무엇이었을까? 소위 항간에서 말하듯이 당신들 마음에 드는 청년을 만나 결혼했으나 어려운 시집살이는 될 수 있으면 피하고, 아이 낳고 그냥 그렇게 사는 것이었던 것이다. 나는 그렇게 살아 왔다.

학창시절의 평범과 생활인이 되었을 때의 평범의 정의나 기준에는 차이가 있어 보인다. 어폐가 있을 정도로 말이다. 또 평범과 비범이라는 실체는 나의 경우에는 학구적/학술적인, 그에 부수된 삶에 대한 것으로 간주되지만 실상 그 범위가 국한되어서는 설명이 되지 않는 경우가 흔하다.

공부 잘해라 하시지도 않았다. 성적 나쁘다는 소리를 들은 적이 꼭 두번 있다. 한번은 언니한데 신랄하게 질책을 받았다. 엄마와 아버지 대신 내 담임 선생을 만나러 갔었던 때가 있었다. 언니는 생각보다 내 성적이 안 좋아서 쪽 팔렸었던 것 같다. 또 한번은 사돈 언니벌 교수였는데 내가 장학금 신청을 했을 때 조용히 성적이 별로 안 좋다고 말해 주었다. 얘기가 옆으로 새지만, 실상 나는 의본과 시절에 수재로 간주되어 문교부 장학금을 탄 적이 있다.

도대체 내가 감지하고 있는 평범이란 무엇인가를 따져봐야 할 것 같다. 평범이란 ‘사회의 주류적 가치에 충실히 따르는 것’이라고 누군가 정의했다. 표준국어대사전은 평범하다는 것을 ‘보통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그러면 보통이란 무엇인가를 또 따져봐야 한다. 뛰어나지 않고, 열등하지 않은 것이 보통이란다.

여기서 내가 열거해온 학교, 학교성적, 고등교육 속의 평범, 비범, 보통 등의 이야기를 떠나서, 나의 부조리한 기억으로 돌아간다. 평범과 비범, 보통이라는 것을 삶의 다른 부분에서도 구분하고 구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한 비범한 사람이 평범한 삶을 살 수도 있다는 것을 생각해 보자. 88세 ‘오마하의 현인’인 기업가이며 투자자인 워렌 버핏이 그 좋은 예이다. 그의 평범한 일상생활에 대해 미디어가 이미 많이 보도한 바 있다.

‘시집살이 어찌 하는지 누가 점수 매기러 오지 않으니, 성실히 편히들 살거라. 너무 잘하려 하지 말고!’ 하시던 내 친구 어머님의 말씀으로 이글을 끝낸다. 그 때는 필부의 평범한 삶의 아름다움을 내가 알지 못했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