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 중앙일보 창립 44주년 필자소개난에 나간 글입니다.
미주 중앙일보가 44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1세 이민자, 유학생, 파견 직장인 또는 2세, 3세들에게 한글을 통해서 여러 소식을 전해 주고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 것에 감사드리고 축하드립니다. 한국사람으로 한글과 한국말을 잊지 않고 살아 갈 수 있다는 것은 삶의 ‘얼’과 ‘얼’로 인한 ‘열정’을 잃지 않게 해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종양 방사선학 의업이 저의 주업입니다. 카이저병원 암 센터에서 일해 왔습니다. 요즘은 한국어진흥재단(www.klacUSA.org) 이사장직을 맡고 한글 진흥을 위해서도 일하고 있습니다. 이 재단은 미국내 공립중고교에 한국어반 신설을 통한 한국어의 공교육을 실시하고 한국어를 배운 한인, 비한인 학생들에게 SAT-II 한국어 외에도 AP한국어라는 또 하나의 문을 열어주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는 비영리 재단입니다.
두 딸이 의사와 박사가 될 때 까지 함께 걸었던 경험, 실수를 토대로 중앙일보 장연화 기자와 함께 하는 교육 카페 ‘에듀팟(www.podbbang.com/ch/10934)에도 정기적으로 출연하고 있습니다. 제가 ‘말보로 고등학교’에서 이사직을 맡았던 경험이 이 프로그램과 한국어진흥재단 사업을 더 깊이 이해하고 이행하는 것에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저의 궁극적인 희망은 글을 계속 쓰고 나누는 것입니다. 저의 글을 모아 ‘희망 한 단에 얼마예요?’라는 수필집을 출간(2016)했고 그 동안 썼던 글들, 발표되지 않은 글들은 웹사이트(www.mydoctormonica.com) 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환자와 동료들이 뽑는 ‘월터 러스크상’, 레지던트들이 뽑는 ‘올해의 스승상’, 경기여고 동문회에서 주는 ‘영매상’등을 수상한 일복, 인복, 상복이 많은 사람입니다.
이 글이 나간 이후 10월 9일 한글날 한국에서 한국어진흥재단 대표로 대통령상 표창을 받았습니다. 한글발전 유공단체로 체택된 단체 3개 중 하나로, 미국에서 저희가, 싱가폴, 한국에서는 KBS 우리말겨루기 팀이 수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