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만든 한 권의 책

‘나를 만든 한 권의 책’이라는 칼럼에 ‘데미안’을 선정한다. ‘데미안’의 주역인 에밀 싱클래어가 사회생활의 시작인 초등학교 입학의 문으로 들어서면서 부터 겪어내야 했던 이야기이다. 자신을 찾아가는, 자신을 만들어가는 과정의 어려움은 단순히 그의 것만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헤세는 ‘왕따’당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 군중의 일원이 되는 것이 어리석다는 것을 알면서도 그 일원이 되려 노력하는 아이러니, 그리고 그 과정 중에 어릿광대가 되어 자학하는 모습을 잘 표현하고 있다.

그가 표현했던 자기를 찾고 만들어 가는 과정은 안이하고 편안하고 전통적인 삶의 방식에 의존하는 나(自我)의 반쪽과, 불편하고 어둡고, 세상이 알고는 있지만 인정하지 않는 또 다른 나의 반쪽과의 싸움이었다.

궁극적으로 어느 한가지가 아닌, 복합체로 재확인 된 나(自我) 라는 존재가 아프고 힘들게, 온갖 힘을 다해서 스스로 자신의 껍질을 깨고 부화하는 새 처럼 세상 밖으로 나온다. 그의 아프고 긴 여정이 밖으로 부터, 즉 데미안이라는 친구로 부터, 더 이상 특별한 해답을 듣지 못하고 끝을 맺어 주는 것이 아쉽지만 고마웠다. 그 때, 그들은 이미 성인이었다.

그러나 이 한 권의 책이 나를 만들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나는 십대에 처음 ‘데미안’을 읽었다. 한국말 번역본이었다. 그 후 1985년 마이크 로로프, 마이클 레벡이 독일어를 공동 번역한 영역본으로 하퍼 앤드 로우 출판사 발행본을 읽었다. 참고로 최초 영역본은 1923년 출판되었고 그 후 1965년 하퍼 앤드 로우 출판사가 카피라이트를 갖게 된다. 그때 부터 1985년 까지 33번 영역본이 프린팅 되었다.

나는 책을 사면 산 날짜, 당시의 삶의 상황을 첫 페이지 바인딩 안쪽에 적어 놓곤 한다. 이번에 ‘데미안’ 책을 다시 읽으려고 정돈되지 않는 책장을 훑으면서 1986년, 1994년이라 적혀있는 두권을 발견했다. 아뿔사! 정돈되지 않았던 책장에서 1986년에 샀던 책을 찾지 못해 1994년에 다시 구입했던 모양이다. 1986년에는 큰 아이가 십 대일 때 였고, 1994년은 작은 아이가 십 대일 때로, 그 애들이 ‘데미안’을 읽을 때 나도 함께 읽은 것이었다.

1994년도에 샀던 책에는 영어로 ‘손길이 닿았던 모두를 잃다. 큰아이(이름을 썼다) H 대학 신입생, 작은아이 M 고교 재학중’ 이라고 써 있다. ‘손길이 닿았던 모두…를 잃다’는 무슨 뜻으로 쓴 것이었을까? 다시 읽은 ‘데미안’에서 이 구절을 찾아내지 못했다.

이 책은 조선에 삼일운동이 있었던 1919년에 에밀 싱클레어라는 가명으로 출판되었다. 헤세는 정규 고등교육을 받지 못 했던 사람이다. 그는 신학교를 자퇴했고, 정신분석을 받은 적도 있으며, 자살을 시도한 적도 있었다. 일차 대전, 이차 대전, 나치의 민족주의, 심각한 인권유린이 난무하던 때 살았던 사람이다. ‘유리알 유희’가 그의 마지막 소설이었다. 이로 1946년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중앙 2018 12월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