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고 살았다!

분주하다는 핑게로 한동안 정리하지 못했던 서류들, 여기 저기 널려 있는 글들, 일기를 쓴 책들을 구분해서 치우다가 40년 하고도 한 달 전인 1979년 3월 29일, 낮에 썼던 일기를 보았다. 수련과정 마지막 해로 병리학 교실에 순환근무를 갔던 때이라고 적혀 있다. 나는 종양방사선학 수련의 과정을 뉴욕주립대학 업스테이트 과학센터에서 받았다. 수련의들은 본인의 전문분야와 관련된 또 다른 특수 전문과에 순환근무를 하므로서 본인의 전문성의 판도를 넓히고 심도 깊은 의학을 연수해 간다. 나의 전문직에는병리학, 진단방사선학, 종양내과학, 종양외과학이 필수적인 로테이션이다.

일기 이야기를 조금 하고 지나간다. 나는 의과대학 시절 부터 일기를 가끔씩 써 왔다. 일기를 아무 때나 쓴다. 어떤 때는 하루에도 여러번 끼적인 경우도 있다. 매일 쓰지도 않는다. 되 돌아가 읽는 적은 드물다. 언젠가 쌓여 있는 일기책들을 모두 소각하리라 마음 먹고 있다.

이 40 여년 전에 쓴 일기는 반 페이지에 지나지 않는다. 나는 그 날 큰 딸에게 편지 형식으로 일기를 쓰고 있다. 큰 딸은 세살이 채 되기 전이었다. 여러가지 일을 동시에 해야 하는 젊은 엄마, 그래서 아이와 함께 하는 시간이 짧아 안타까와 하는 마음으로 엄마는 시대적 우울 그리고 인종차별에 대해 쓰면서 엄마의 바람을 말하고 있다. 엄마는 아이가 커서 훌륭한 의사가 되어 ‘시시껄렁한 미국사람들 코를 납작하게 해 주기를’ 바란다고 쓰고 있다. 여기서 미국사람들이란 백인 남자 의사들을 칭하는 것일 것이다. 아이는 이 일기를 읽은 적이 없고, 앞으로도 읽게 되지 않을 것이다.

세월이 흘렀다. 내가 일기장 노트의 공간에 인종차별에 대한 내 마음을 끄적였던 1979년 보다 일 년 전인 1978년에 다민족 사회의 미국은 5월 첫 열흘을 ‘아시아 태평양 문화유산 (이하 아태문화유산)의 날’로 정했다. 5월은 일본인 이민자들이 이 땅에 발을 처음 디딘 달(1943년)이고, 중국인들의 노고로 미국대륙횡단 기차길이 완성된 달(1896년)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14년 후인 1992년 상원은 열흘이 아닌 5월 한 달 동안으로 늘렸다.

미국의 인권운동이 있었던 1960년 대 이전에는 동양인을 ‘오리엔털’이라 불렀다. 이 단어는 약간 모욕적인 의미가 들어 있다. 샌프란시스코 대학가에서 중국, 필리핀, 일본계 학생들의 끈임없는 투쟁과 하와이 상원의원이었던 일본계 팻지 밍크, 미시간 디트로이트에서 있었던 중국계 청년 빈센트 친 인종오해-살인사건등이 ‘아태문화 유산의 달’을 확고히 하는데 일조를 했다고 보아도 된다.

빈센트 친은 자동차업조계 노동자였던 아버지와 양아들에 의해 살해된 청년이다. 당시 일본산 작은 자동차들의 수입으로 미국 자동차 업계는 경제적 타격을 크게 받았다. 빈센트를 일본인으로 오해하고, 증오감에서 저지른 살인범죄였다. 감옥형이 아닌 3천불의 벌금과 집행유예로 가볍게 처리된 이 사건을 ‘삼천불 짜리 살인 면허’라고 할 정도로 많은 파문을 일으켰다.

1860년에 미국 인구의 0.1%였던 아태계는 150년이 지난 2010년에도 겨우 4.8%를 차지하고 있다. 40대 중반이 된 큰 딸은 나 처럼 종양방사선 전문의가 되었고, 교육에 관심을 둔 박사인 둘째 딸은 미국공립중고교 내의 기기(器機)의 불평등한 분배에 대한 연구를 발표한 바 있다. 화내지 않고 시간은 걸리지만 실력을 쌓고 내공을 기르면 된다. 그리고 우리는 잊고 살아간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