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 살도 되기 전 어느 여름날이었다. 비가 부슬 부슬 내리고 있었다. 여름비를 맞고 있는 닭들이 슬퍼 보였다. 갈 곳이 없다는 머언 아버지 지인의 아들이라는 아저씨가 우리 집에 얹혀 살고 있었다. 여름비가 오던 그 날, 아저씨는 구속되었다. 병역기피 죄목으로 끌려가던 아저씨의 뒷모습이 초라해서 슬펏다. 비 맞고 있는 보라색 백일홍 꽃도 슬퍼 보였다.
청소년 시절을 한국서 지나고 나는 뉴욕주 Upstate, Syracuse 에 있는 뉴욕주립대학병원에서 종양방사선학 수련의 과정 후 엘에이에 정착했다. 어느 날 오피스 근처 홈디포에서 집 없는 까만 고양이를 보았다. 애처러운 마음에 가던 길을 멈추고 녀석을 보았다. 내 기억 속에 남아있던 아저씨의 초라했던 어깨는 위험을 무릅쓰고 던져주는 밥에 살금살금 가까이 오던 홈리스 까만 고양이의 매말라 드러난 등판의 등골뼈 위로 겹쳐저 다가왔다.
이렇게 홈리스 고양이들 때문에 연관이 된 기관이 한국어진흥재단이다.
‘무슨 소리?’ 라는 반문은 ‘한국어진흥재단’으로 돌아간다. 당시 ‘한국어진흥재단’ 이사장으로 있던 문애리 교수와 나는 홈리스 고양이들 때문에 얽힌 사이이었던 것이다!
UCLA 사회학과 교수님과 종양방사선학 전문의인 나는 개인적으로는 서로 모르는 사이이었고, 각각 다른 곳에서 고양이들을 rescue 하고 있었다. 우리들은 가끔 신문기사를 통해서 상대방을 인지하고 있는 정도이었다. 우리는 고양이구제 사업을 하다가 밸리에 있는 성요셉 성당에서 만나게 되었다. 성요셉 성당 마당에는 지금의 성당 재건축 전에, 여러 선데이 스쿨 트레일러가 있었는데 ‘밸리 출신’의 홈리스 고양이들이 트레일러 밑에서 진을 치고 있었다. 이야기가 옆으로 새지만, 홈디포의 까만 고양이, 성당안의 다섯마리 새끼를 낳은 어미고양이는 내가 입양했고, 까만 고양이는 몇 년을 내 집에서 살다가 삼 년 전에 죽었다.
SATII Korean을 College Board 에 상정하기 위한 petition drive에 참여했던 엘에이 주민들, 교민사회의 리더들, 한국기업의 재정적인 도움 (예: 삼성)으로 SATII Korean 이 College Board 에 의해 1994년 채택되었다. 당시의 열정은 AP Korean 을 위해 이어지고 그래서 탄생한 것이 비영리단체 ‘한국어진흥재단’ 이다. 홈리스 고양이 구출작업에 시간을 쓰고 있던 당시 문애리 교수는 ‘한국어진흥재단’의 이사장이었고, 그는 나를 이사회로 이끌었다.
‘한국어진흥재단(이하 재단)’은 미 주류사회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인 이사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재단의 활동은 주말학교의 그것과 혼동되어서는 안된다. 주말학교는 우리 한국인의 혈통 자녀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시스템으로 외교부 산하 재외동포재단의 재정적인 도움을 받는다. 한국아이들이기 때문에 한국에서 출판된 교과서로 배우는 것은 자연스럽다.
그러나 ‘재단’의 활동은 비혈통, 혈통 자녀들을 타겟으로 한다. 정규학교에 Spanish, French, Chinese, Japanese 등과 동등하게 class를 넣어, 한국어를 외국어로 채택할 기회를 주는 것이다. 이 활동에 관여된 여러개의 사업은 필수적인 것으로 비혈통 학생들을 위한 교과서 만드는 일 이외에도, 한국어교사양성, 한국어교사시험준비등이 그 예로 ‘재단’은 공식적으로 9가지 사업을 하고 있다.
한국정부의 교육부를 통해 재정적 지원을 교육원이 대행하고, 지원받는 funding의 밸런스는 언제나 ‘zero (0)’ 로 한 해를 마감한다. 사업에 쓸 만큼만 신청하기 때문에 밸런스가 zero 인 것은 당연하다. 이사들은 무료봉사를 하고, 약 20명이 있다.
뒤돌아 보니, 나는 실상 의학과 때 문교부 장학금을 받은 적이 있다. merit base 로 주는 것이었다. 그렇게 연결되었던 문교부. 많은 세월이 지난 후 다시 연결된 문교부, 모국을 떠난 새로운 내 나라에서 모국의 언어와 관련된 활동을 하고 있는 나를 생각해 본다. 2년 전 내가 이사장이 되었고, 작년 한글날에 ‘재단’은 그 업적을 한국정부에서 인정받아 대통령상을 한글날에 받았다.
그리고 나는 한글로 미주 중알일보 ‘오픈 업’이라는 컬럼에 글을 쓰고 있지 않은가! 한글, 문교부, ‘한국어진흥재단’, ‘재단’ 이사장직, 올해 한글날에 있을 25주년 기념 갈라, 25주년 기념 책자발행, 한식세계화협회와의 동업으로 효율적인 한국문화와 한글의 진흥.
없었던 모국에 대한 애국심을 싹 틔우고 있는 활동에 여념 없는 자신을 들여다 보고 있는 아침이다.
이사장님께서 한국어진흥재단을 맡아주셔서 든든합니다. 한글날 대통령상 받으시는 동영상도 보았는데 너무 자랑스러웠답니다. 조금 늦었지만 축하드립니다. 앞으로 재단에서 한국어 교육 많이 보급해주시길 기대합니다.
좋아요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