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가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을 우리는 초등학교부터 고교시절 동안 제공받는다. 왠만한 국가들은 ‘의무교육(compulsory education’이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취학학령의 아동을 가진 부모들 한테는 의무가 되고, 취학학령 아동들에게는 권리로 부여된다. 국가는 국민이 내는 세금에서 경비를 충당하게 된다. 나라마다 의무교육기간은 좀 다르다.
Formal schooling 은 보통 12년으로 18살 때 까지 포함하고, 의무교육은 16살 까지라고 되어있다. 미국 federal budget 의 10%가 교육에 할당된다 한다. 각 State 마다 받아 쓰는 재정이 갈라 지방자체기관, State가 공교육 자금조달 책임을 진다.
내가 받은 기본교육은 모두 한국에서 있었고, 고등교육도 한국에서 끝내었다. 미국에서는 수련의 과정을 지내면서 고=고등교육에 참여했다면 틀린 말은 아니다.
한국에서의 공교육의 내용를 별로 기억 하지 못한다. 내가 충실한 학생이 아니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두가지, 지금에 와서야 비로소 깨달은 간접적, 직접적 오해의 정보는 ‘한국어’에 대한 것과, 한국의 역사 특히 ‘구한말(舊韓末) 역사’에 대한 것이었다. 내가 공교육을 받을 때는 한국이 독립국가 이었을 때이었지만, 교사들이나 주위의 어른들은 거의 일제강점기 때 교육을 받았던 터이었기에 한국어와 순종황제에 대한 은근한 비하(卑下)적인 코멘트가 있었던 것이다.
예를 들면, 한글은 조선인들이 사는 집의 창문에서 그 형태를 따 온 것이라는 것, 순종황제는 능력없는 모자라는 사람이었다는 내용들이었다.
‘한국어진흥재단’ 이사장을 하면서 한글에 대한 우수성, 과학성, 창조의 근원을 더 확실히 알게 되었다. 인간의 구강과 후두를 연구하셨던 세종께서 그 모양으로 만드신 훌륭한 글짜가 한글이다.
조선의 27대 왕 순종황제는 병약하시기는 하였어도 1908년 한국 최초 공립여학교를 칙령으로 만드신, 여성교육에 앞서 가시던 분이었다. 그의 휘는 이척(李坧)으로1874년 3월 25일(음력 2월 8일) 고종과 명성황후의 장남으로 출생, 고종을 받들어 ‘홍범 14조’ 발표에도 함께 하였다한다. 1895년 1월 7일 주한일본공사 이노우에(井上馨)와 내부대신 박영효(朴泳孝)의 권고에 따라, 고종황제는 대원군, 왕세자, 종친 및 군신(群臣)을 거느리고 종묘에 나아가 독립서고문(獨立誓告文)과 함께 발표한 것이었다.
「홍범14조」란 “ 청나라의 대한종주권(對韓宗主權) 부인, 대원군과 명성황후의 정치개입 배제, 근대적인 내각제도 확립, 탁지아문 관할하의 재정 일원화, 조세법정주의 및 예산제도 수립, 지방제도 개편, 해외유학생 파견에 의한 외국 선진문물 도입, 국민개병주의에 입각한 군사제도 확립, 법치주의에 의거한 국민의 생명 및 재산권 보호, 문벌 폐지와 능력에 따른 인재등용” 의 내용으로 순한글체•순한문체•국한문혼용체로 각각 작성하여 선포한 것이라고 한다. 이는 갑오개혁의 목표를 강령으로 선언한 비록, 일본공사의 권고에서 비롯되긴 했으나, 당시 개화파 관료들의 개혁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한국 최초의 근대적 정책백서이자 최초의 헌법적 성격을 지닌 것으로, 국왕이 우리나라의 자주독립을 처음으로 내외에 선포한 문서이기도 해서 그 역사적 의의가 크다고 본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따오고, 문장을 읽기 쉽게 변형한 것임.)
순종황제는 한일합방 조약에 날인을 거부했다. 이완용이 대신 날인했다고 전해진다. 그리고 순종황제의 첫 황후 사망 후 두번째 황태자비로 책봉된 12세의 순정효황후는 친일파 윤택영의 딸이었지만 오빠 윤홍섭처럼 독립사상이 높으셨던 분이었다. 한일합방 조약 날인을 위해 필요한 임금님의 옥새를 치마폭에 감추었다가 친일파 삼촌에게 강제로 빼앗긴 일화가 있다고 전해진다. 해방 후, 또 한국전 이후 황후는 가난하게 사셨다 전해진다. 친오빠인 윤홍섭 독립유공자께서는 미국에서 신익희씨등 독립운동가를 도왔고, 한국민주당 창당에 동참, 심사부원으로 지내며 대한제국의 초기의 정치인으로 지냈으며 지금의 숙명여고, 숙명여대로 발전한 숙명학원의 3대 이사장을 지냈다. 이 분의 두 딸들이 경기여중고 출신이다.
이 독립투사, 양반, 귀족의 막내 딸은 나의 친구이다.
‘…내가 구한말에 태어났더라면 너랑 친구가 될 수 없었을거야! 나는 평민이거나 하인이었을터이니?’
‘…무엇이든 마지막은 비운이 감돌아~~~’
‘…우리들의 마지막도 그럴까?’
‘…우리들이 만들기 나름이야. 모두 흙으로 돌아가잖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