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이 나라를 망하게 하지는 않는 시대

방문하려 계획했던 쿠바는 트럼프 행정부의 결정에 따라 미국 시민으로는 갈 수 없게 되었기에 쿠바 근방에 있는 몇 개의 섬을 들리는 바다 여행으로 대신 했다. 이 지방 원주민 마야, 잉카, 아즈텍이 살던 곳 중에 마야 사람들이 살던 곳에 갔다. 잉카는 남미의 서쪽 해변을 끼고 있는 페루에, 아즈텍은 미국의 남쪽 멕시코에 정착하고 살아왔다.
마야 사람들이 기원전 3000년 부터 서기 15세기 까지 천문학, 수학, 건축, 달력등 다양하고 뛰어난 문명을 이룩하며 살았다는 흔적을 19세기에 발견했다. 현재 약 2백만명의 마야사람들이 동남부 멕시코, 과테말라, 벨리츠, 엘살바도르에 퍼져 살고 있다.
피라미드와 첨성대, 성전, 공연장, 벽만 남아 있는 건축물, 그리고 벽에 쓰여 있는 상형문자, 수학의 관념, 천문학에 대한 흔적들을 보았다. 내가 특별히 감동 받았던 역사적 사실은 “0(zero)”에 대한 마야 사람들의 수학에 대한 구상과 개념이었다. “0”가 하나의 숫자로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그들 덕분이다.
이들의 패망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이들의 패망을 이해하려면 유럽 왕국들, 즉 폴튜갈에서 시작해서 스페인, 영국, 프랑스 왕국이 저지른 메조아메리카 침략사와 노예매매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400년 동안 총 2천 5백만명의 아프리카 흑인들이 유럽, 아랍, 아메리카에 노예로 끌려갔고, 반대로 신대륙에서 금, 은, 향료는 유럽으로 보내졌다. 아프리카는 인구가 늘지 않았고, 유럽과 미국의 자본주의 경제는 상승로에 올랐던 것이다.
유럽인들이 갖고 들어간 전염병 천연두가 마야 사람들을 소멸했고 나라가 망하는데 일조를 했다고 본다. 천연두는 기원전 3000년에도 있었다. 이집트 미라에서 그 흔적을 볼 수 있다. 20세기에는 세계적으로 3억에서 5억명이 천연두로 사망했을 정도로 천연두 바이러스는 악성이었다. 1979년 세계보건기구는 더 이상 천연두가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확인한 바 있다.
세계를 휩쓸었던 또 하나의 전염병은 쥐벼룩이 옮기는 박테리아로 인한 흑사병으로 14세기에 5천만 명을 죽였다. 지금 코로나 바이러스(nCoV) 전염병 때문에 온 세계가 앓고 있다. 이 바이러스로 인한 폐렴을 우한 폐렴이라고 칭하는 것은 중국의 우한지방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전자 현미경으로 보면 뿔 같은 것들이 두둘 두둘 표면에 있어서 붙여진 라틴 말이다. 뿔의 모양을 한 세포를 좀 떨어져서 보면, 왕관 같은 형태를 하고 있다.이 계통에 속하는 바이러스들이 일으킨 병들은 우리에게도 익숙한 사스(SARS), 메르스(MERS)이다.
이젠 전염병으로 나라가 망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빠르게 항생제도 쓰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적절한 치료도 하고, 예방주사도 만들고 나라가 가난하면 국제기구가 손을 내밀어 도와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스로 전세계가 4백억 달러를, 메르스로 남한은 2십6억 달러의 경제적 손실이 있었다는 것을 생각해 보면, 건강의 중요함을 다른 각도에서 들여다 보게 된다.
끝으로 미국인들의 여행태도에 대해서 생각하므로서 이 글을 끝 맺으려 한다.
그룹 여행 참석자 대부분이 백인이었다. 그중 한 여인은 반신불수였지만 지팡이를 짚고 스스로 걸었고 두 사람은 휠체어를 탔다. 여행객들은 반신이 불편한 여인의 발걸음에 맞추어 천천히 걸었다. 인간을 희생제물로 바치던 마야 사람들의 땅에서 우리들은 서로 배려하며 걷고 있었다. 인류애에 대한 과정도 시대적 탈바꿈을 하는 가 보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