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8년 로널드 레건 대통령 재임 때 ‘여성 역사의 달’ 이라 선포된 3월이 왔다. 올해 3월은 과거 세상사가 남성 위주였다는 인식을 뒤 돌아 보려는 노력이 두드러게 보인다. 가려졌던 여성들의 공로를 찾아 보고 알리자는, 좀 색 다른 3월인 것 같다.
미국 2대 대통령의 아내이자 6대 대통령의 어머니인 아비게일 아담스는 여성들의 사회참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남편인 죤 아담스 대통령에게 상기시켰다. 그러나 여성 참정권이 부여된 1920년 까지 140여년이 걸렸다. ‘여성의 달’은 1988년 제정되었으니 거의 200년이 지난 셈이다. 여성의 참정권리 뿐 아니라 인권을 위해 싸워 왔던 많은 여성들, 그리고 남성들이 있다. 여성들은 백인도 있고 유색인종들도 있었다. 참고로 한국여성들의 투표권은 일제강점기가 끝난 1945년 부터 있었다. 한국은 그런 면에서 개화된 나라라는 생각이 든다. 1945년에 한국남성들도 처음으로 투표권을 가지게 되었을 것이다.
인권을 위해서 뿐 아니라 한국 같은 경우는 유관순 독립의사 같이 인권과 국권을 위해서 항쟁했던 위대한 여성들도 있다. 또 의료부분에서도 전례를 깨고 의과대학에 입학원서를 내고 당당히 첫 의대생이 된 이민자인 엘리사벳 블렉웰도 잊을 수 없다.
지난 주 3월 8일은 ‘세계 여성의 날’이었다. 이에 맞추어 타임(Time) 메거진은 ‘올해의 여성’이라는 제목을 붙여 과거 100년 동안을 회고하고 한 해에 한 명의 여자들을 선정해서 3월 호를 출판했다. 타임지는 1927년 ‘올해의 남성’이라는 칼럼을 만들었고 1999년 ‘올해의 인물’로 선정 범위를 바꾼 후, 여성들도 뽑기는 했지만 72년 동안 많은 여성들을 놓쳤음을 인식했던 것이다.
여담이지만 ‘올해의 남성’이라는 칼럼은 메거진이 구태의연하고 활기를 잃어 가고 있을 때 새로운 도약의 도구로 구상해 내었던 것이었다 한다. 또 다른 이유로는 대서양을 비행기로 최초 횡단했던 챨스 린드버그를 적당한 시기에 대서특필 하지 못한 실수 때문에 한 해를 마감하면서 공인하는 의미에서 만들었다고도 한다. 하여간 챨스 린드버그는 타임지의 첫 번째 ‘올해의 남성’이었다.
다시 여성의 이야기로 돌아간다. 1920년 부터 2019년 까지 한 세기를 아우르는 세월 속에 사회적으로 정치적으로 힘든 일들을 해 낸 여성 참정권을 성공시킨 여인들 부터, 에이즈 바이러스를 발견한 프랑소아 바레-시누씨 (1983), 민주주의를 위해 싸운 필리핀의 코라존 아퀴노, 세상에서 가장 빨리 달리는 여인 플로렌스 조이너, 인권 보호의 타이틀 나인(Title IX)을 통과시킨 하와이의 팻치 타케모도 밍크 하원의원, 그외에 가수, 작가, 여왕, 공주, 수상, 대통령, 대통령 영부인등이 있다.
그런데 아무리 보아도 마담 마리 큐리는 보이지 않는다. 마담 큐리는 폴랜드 출신의 물리학자, 화학자로 프랑스 국적을 갖고 있던 우리 같은 디아스포라였다. 물리와 화학의 두가지 노벨상을 받은 유일한 과학자이며 최초의 여성 노벨상 수상자이다. 폴로니움과 레디움 동위원소를 발견한 여인으로 발견한 동위원소를 모국을 기리는 의미에서 폴로니움이라 명명했던 여성이다. 그녀의 공로로 현재 발암 환자의 약 50%는 완치목적 또는 증상완화 목적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고 있다.
동양 나라 중에 중국, 일본, 필리핀, 인도 출신의 여성들은 있는데 한국 여성은 없다. 한국 여성들이 반열에 오를 때 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