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바이러스가 준 선물

2020년 1월 19일 미국 최초의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환자가 보도되었다. 그 후 2월 11일 코로나바이러스 병은 COVID-19이라고 공식적으로 병명이 정해졌다. 바이러스의 이름은 SARS Coronavirus 2 (SARS-CoV-2)이다. 2003년 있었던 사스 균과 공유하는 유전 정보가 많아 사스 코로나 바이러스 2 가 되었다.

예방약이나 특수 치료제가 없다보니 빠른 전파를 막는 최선의 방법으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행정법으로 채택하고 세계는 엄격히 이것을 준수해 오고 있다. 미디어는 하루도 걸르지 않고 변해가는 사태를 보도해 주어 고맙다. 오늘은 칩거규제 완화를 암시한 기사가 있었다. 또 의학적, 과학적인 새로운 내용들도 계속 업데이트 되어 실리고 있다. 임팩트 팩터가 제일 높은 미국의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 (NEJM)을 개인적으로 좋아한다.

그동안 우리들은 미디어와 저널들을 통해서 많은 새로운 것들을 배워가고 이루어져야 하는 변화에 대해서 고심하고 있다. 다수의 생명을 잃은 것은 슬프지만, 이 사태로 인해서 인류는 많은 선물도 받았다고 생각된다.

위에 말한 ‘임팩트 팩터’란 한국말로 ‘충격계수’인데 이에 대한 설명이 약간 필요하다. 이것은 학술지의 우수성 순위를 매기는 방법중의 하나로 보면 된다. 주로 최근 2년 동안 새로운 연구결과를 발표할 때 과거의 논문과 이를 실은 학술지 인용의 빈도에 따라 계산된다. 학술지의 명망은 의학 정보를 누구보다 빨리 그리고 정확하게 나누는데에 있다. 이미 발표된 내용을 새 것인 것처럼 도용, 발표해서는 안되는 잉겔핑거 법칙을 준수해야 한다. NEJM 이 제일 높은 점수 70 점이고 다른 두 학술지,JAMA 와 Lancet 은 50점 대이다.

오늘은 이 NEJM 학술지를 통해서 발표된 내용 중 몇가지를 나누고 싶다. 첫 발병자에 대한 상세한 치병 과정을 1월 30일 발표한 후, 4월 첫 주에는 바이러스 학 이외에도 이 병이 주는 사회적 영향에 대한 분석 내용도 있었다. 예를 들면 랜드 연구기관 연구학자들인 스탠포드 대학 멜로 교수, 미시간 대학 하파지 교수가 발표한 “ 글로벌적 생각, 지방주의적 치료’ 라는 논문이다. 지식의 빠른 세계적 공유와 질병 대치에 대한 협조의 중요함에 대한 것이었다.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국가적 관심의 촉구도 좋은 내용이었다. 미국에 있는 2 백 2십 만 명의 수감자들을 방관하지 말자는 것이다. 이들의 50%는 적어도 한 가지의 만성병을 앓고 있다. 81,600명 (3.7%)가 60세 이상이다. 이들의 ‘사회적 거리’ 두기는 실제로 불가능하다. 코로나 감염이 발발할 경우의 심각성은 설명이 필요 없다.

그러나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받은 선물들이 있다. 평소 기껏해야 서너시간 가족들과 마주대하던 바쁜 삶을 접고 하루 24시간을 집이라는 공간에서 함께 지나면서 서로를 다시 알아가고, 관심과 배려의 방식을 익히고 있다. 외로울 수 있는 지인들에게 마음을 전한다. 물질주의를 멀리하고, 삶의 목표를 재조정 중이다. 정부는 그들의 리더십에 대해서 고민한다. 불필요한 외출이 줄어든 뉴 노멀로 트래픽이 없고, 공기는 맑아졌다. 여러 방면에서 규제를 받아 지체되어 온 원거리 진료와 치료가 디지털 전략으로 실행이 가능하고 타당하게 된 것은 큰 선물이 아니겠는가.

다시 말해 의료계의 디지털 혁명은 가정 생활의 새 방식 미니멀리즘과 절제를 받아들인 범사회적 혁신과 더불어 우리에게 주어진 귀중한 선물이 아닐 수 없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