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정부 창립 100주년과 나의 모교, 경기여고

지난 달 4월 19일 USC 에서 ‘ Commemorating The Centennial: Spring 1919,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Digitized Archives’ 이라는 제목으로 conference 가 있었다.  USC 에 재직하고 있는 한국계 역사학 교수, 동아시아학 교수들과 비혈통계 타 대학 석학들이 한국의 삼일운동, 임시정부를 주제로 그들이 찾아내고, 연구해 온 자료들을 갖고 발표를 했다. 대표적 발표자는 Indiana University 석좌교수 Michael Robinson, Rikkyo University 교수 Mark Caprio, Richard Kim UC Davis 교수들이었고 commentary 를  Sunyoung Park,  David Yoo, Kristine Dennehy 교수들이 하였다.

이 학회는 한 나절 정도 걸리게 프로그램이 짜여 있었다. 오랫만에 방문한 USC 캠퍼스는  아름다웠다. 잘 가꾸어진 정원, 오래된 나무들, 유서 깊어 보이는 빌딩들, 여유있어 보이는 학생들이 잘 어울려 있었다고나 할까. 학회는 Doheny Memorial Library 에서 있었고 참석자는 생각보다 많지 않았다. 아쉬웠다.

그곳에서 예전에 몰랐던, 어쩌면 배웠지만 기억하지 못할 수도 있는 정보들이 논의 되었다. 삼일운동과 상해임시정부는 자연스레 같은 때에 일어났고, 설립되었다는 것과 1918년 발표되었던 당시 미국대통령 W. Wilson 의 ‘Fourteen Points’ 는 유럽의 평화적인 나라 설립 또는 재설립에 관한 것이었지 식민지국가를 겨냥한 것이 아니었다는 것이었다.  징병되어간 많은 조선학병들,  전범죄인으로 사형된 한국인들도 있었다는 것을 지나가며 강의하는 것을 들었다. 이것이 학회의 focus 가 아니었기 때문에 간단한 언급이 있었던 것이다.

Wilson 대통령은 석학들을 고용하여 연구해서  ‘Fourteen Points’를 발표했던 것이라는 것을 학회가 끝난 다음 내가 찾아 본 결과 알아낸 것이었다.

삼일운동은 고종황제 장례식을 기해 곳곳에서 한국민들이 붕기한 독립운동이었다. 고종황제는 1월에 타계했는데, 절차상 장례식 까지 시간이 걸렸고, 당시는 음력을 쓰고 있었기에 약간의 착오는 있을 것이라고 한다. 이 정보는 학회에서 얻은 것이 아니다. 어떻든 일본인에 의한 동양인들의 학살은 5백만 전후이고, 일본군대로 징병되어 죽어간 젊은청년들, 생체실험의 희생자, 위안부 희생자에 대한 잔혹함은 독일인의 유대인 학살에 대하여 세계가, 유대인들이 focus 를 두어 조명했던 것과는 강도를 달리한다.

되돌아 보면 나는 제대로 역사과목을 배운 적이 없다.  살아가는데 필요한 현대사를 배우지 못한 것이 안타깝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