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 정보가 판치는 세상/한글이 UN 공용어로 채택되었다고?

한국에 있는 친구가 ‘축하해! 한국어가 유엔 공영어로 채택되었데. 한국어 클래스를 정규학교에 집어넣느라 애써온 한국어진흥재단의 노력이 보탬이 된 것 같구나!’라는 메시지와 함께 한글이 유엔 공용어로 추가되었다는 제목의 유튜브 영상을 보내왔다. 들뜬 마음에 재빨리 동영상을 열었다. 남자 아나운서의 말투와 소식의 전개 방식에 전문성이 없었다. 한 시간 안에 또 다른 지인들이 같은 영상을 올렸다. 가짜 뉴스였다.

가짜 뉴스, 거짓 정보가 요즘처럼 난무한 적은 없었던 것 같다. 홍수가 되어 쏟아지는 것을 막을 수는 없다. 그러나 예전보다는 쉽게 정보의 출처를 추적할 수 있는 기구들이 있고, 수신인은 진실성에 대한 분별력이 높아지고 있어서, 조금은 안심이 된다. 나도 친구가 보내 준 유튜브 영상이 가짜라는 것을 금방 알았다.

퍼졌던 한국어에 대한 가짜 뉴스는 유엔에 공식 언어가 6개 있다는 것을 언급했다. 그 말은 맞다. 유엔은 공식 언어와 활용언어를 구별한 적이 있었다. 1945년 초창기의 유엔은 국제연합 헌장에서 5개의 공식 언어로 중국어, 프랑스어, 영어, 러시아어, 스페인어를 채택했는데, 그 후 아랍어가 더해져서 여섯 개로 굳혀졌다. 유엔 총회가 있을 때, 연설의 내용이 이 여섯 개의 언어로 동시 통역되고, 문서로도 만들어진다. 지난해 9월 문재인 대통령의 연설처럼, 공용어 이외의 말이 사용되는 경우는 6개 중 하나의 언어로 미리 번역하여 제출하게 되어있다고 한다.

다시 가짜 뉴스 문제로 돌아가 보자. 놀랍게도 기자들조차 거짓 정보 보도 방법을 공식적으로 훈련받기도 한다는 것이다. 이 사실은 미국의 기자들을 대상으로 했던 한 설문 조사에서 보고되었다(Statistica 1월, Amy Watson). ‘보도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법적 해석의 가능성 때문에 정부나 기관이 이를 쉽게 규제하지 못하고 있다. 또 다른 이슈는 거짓 소식인 줄 빤히 알면서도, 그것을 믿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다.

거짓 뉴스, 정보를 강력히 막고 우선 정정해야 하는 분야는 의료 관련 쪽이다. 증명되지 않은 거짓 의학이 사기꾼과 돌팔이 의사들을 부추기고, 용감하게 순진한 시민들에게 해를 입히기 때문이다. 때로는 생명을 잃게 되기도 한다.

최근에 있었던 코비드 19 판대믹이 시작되면서 횡행했던 거짓 정보, 특히 백신에 대한 유언비어가 좋은 예이다. 백신을 거부했던 유명인사 중에는 코비드로 죽은 사람도 있다. 내가 경험했던 슬픈 어린 환자의 사연도 있다. 키모테라피는 부작용이 많기는 하지만 백혈병을 완치시킨다. 한 젊은 부부가 백혈병에 걸린 네 살짜리 아들을 데리고 왔다. 키로테라피로 하는 정통적 치료를 거부하고, 그들은 아이에게 레아트릴 (laetrile) 치료를 받게 하겠다고 아이를 멕시코로 데리고 갔던 일이다. 레아트릴은 1845년 러시아에서 처음 썼던 것으로 미국에는 1920년대에 알려졌다. 미국의 식품 의약청(FDA)에서는 이 약물 안에는 사이안화물이 들어 있으므로 일찌감치 사용을 금지한 바 있었다. 소아암 전문의사가 법원에서 레아트릴 치료 금지 명령까지 받아내었지만, 아이는 효과 없는 레아트릴 치료를 받다가 악화된 백혈병으로 사망하였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었다.

그 젊은 부부가 당시 어디에서 정보를 얻었는지 알 수 없다. 요즘은 신문, 라디오, TV 이외에도 인기 좋은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북, 트위터, 틱톡, 핀테레스트, 스냅샷, 링크드인, 레딧, 홧쯔합 등 통신망(SNS)이 있다. 정보의 정확도를 가늠하는 것은 아직은 독자와 사용자들의 몫이기에, 어떤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할 때, 귀찮고 힘들어도 시간을 내어서 꼼꼼히 내용을 살펴보기를 권하고 싶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