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모자들을 쓰지 않았지요?” 6 피트 정도 떨어져 앞에 서 있던 내 나이 또래의 할머니가 돌아서며 말을 붙인다. 모자를 쓴 할머니는 마스크에 핑크색 비닐장갑도 끼고 있다. 마스크 하는 것은 권장해도 모자는 쓸 필요 없다고 대답했더니, 할머니는 미장원이 닫혀서 여자들은 당연히 어수선한 머리를 가리기 위해서 모자를 쓸 것이라고 생각했단다. 모자를 쓰던, 머리 짜르는 방법을 개발해서 스스로 삭발을 하던 자가격리 때문에 생긴 이 뉴 노멀, 자신이 어떻게 보일까 하는 것에 신경 쓰지 않는 것이 장점 중의 하나로 마음에 든다.
어제 아침 7시 시니어 시간에 마추어 동네 마켓에 갔을 때의 일이다. 도착해 보니 이미 18명이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었다. 들어가 쇼핑 할 수 있는 사람 숫자는 적절한 사회적 거리를 두고 쇼핑 할 수 있게끔 결정해서 그들 방침대로 운영하는 모양이었다. 처음에 7명에서 짜르더니, 세번째 팀에 끼어 나도 들어 갈 수 있었다.
COVID-19 팬대믹이 삶의 우선순위와 진정한 의미를 재고하게 한다. 아마도 우리들의 행동 과학(Behavioral Science)의 정상치도 변하게 될 것이다. 외출을 줄이고 집에서 원거리 비지니스를 할 수 있는 사람들은 그나마 행운이다. 그럴 수 없는 비지니스도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모이는 곳에 가는 것을 자제하고 그로서리 숍핑도 최소한 줄이는 것은 마땅하다. 나도 재고품목을 쓰고, 먹으면서 지나고 있다. 조금도 아쉽지 않다. 그래도 야채는 어쩔 수 없이 구해 와야한다.
이미 전 세계 확진자 수가 백 만을 돌파하였다. 무증상 감염자와 감염 여부 테스트를 받지 않은 인구를 감안 할 때 감염자는 백 만 이상일 것이다. COVID-19 판대믹으로 인해 생긴 뉴 노멀인 ‘사회적 거리두기’ 는 치료제가 없는 이 전염병이 퍼지는 것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원격으로 학교생활 대신 학과목 수강, 비지니스, 그외의 활동이 진행 유지되고 있다.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원격 소통으로 흔히 스카입(Skype) 과 줌(Zoom)이 쓰인다. 코로나 판대믹 사태를 전후해서, 스카입(Skype)은 하루에 약 74% 증가한 4천만 명이, 줌(Zoom)은 20배가 뛴 2억 명이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원거리로 비지니스가 운영되고 있다 해도 미국인들의 실업 상황은 역사상 최악이다. 노동청은 3월 28일자로 실업자 수당 신청이 3백 3십만에서 6백6십만으로 뛰었다고 발표했다.
우리 모두는 어려운 상황 안에 있다. 어려움을 사기고 이 때를 기회 삼아 삶에 보탬이 될 수 있게 하는 일이나 방법은 없을까 생각해 본다. 정답은 없다. 그래서 나는 밀린 숙제를 하려 한다. 나의 숙제는 반세기 동안 의사생활에 바빠 뒤로 밀어 놓은 쌓여 있는 과거를 들여다 보고, 버려 주는 일이다. 누구에게나 하지 못한 숙제는 있을 것이다. 숙제를 끝내고 나면 홀가분 해 질 것이다.
또 가족들은 계획하지 않은, 여행을 떠날 수도 없는 휴가 아닌 휴가이지만, 이 기회에 서로 시간을 나누면서 밀렸던 대화도 하고, 요리나 청소도 함께 하면서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나날을 가진다면 좋은 휴가가 될 것이다. 만약 풀지 못 한 숙제, 그 문제가 가족간의 불화나 불통이었다면 이 참에 긴장을 내려 놓고 대화로 풀 수도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