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의 20년은 되었을 것이다. 이 유화작품을 본 것은. JAMA(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은 Theodore Gericault (1791-1824)라는 프랑스 화가의 유화 ‘Portrait Study’을 실었다. 이 작품에 대한 설명은 많지 않다. Google Arts & Culture 에 의하면 Medusa 라는 배가 1816년 아프리카 바다에서 파선했을 당시를 그린 ‘Raft of Medusa’ 로 유명해진 화가이라한다. 그가 준비기간 동안 연습한 작품이 위의 그림이다. 모델은 요세프라는 이름을 가졌던 모양이다. 참고로 메두사배에는 140명이 타고 있었고 13일간 표류했다한다. 14명이 살아남았다고 한다.
1818-1819년은 프랑스 노예해방이 없던 때였다. 그는 이 배에 탔던 노예를 생각하고 그린 것이었을까?
흥미로운 사실은 이 화가가 제 정신이 아닌 사람들의 초상화(Portrait of Insane) 을 그린 것으로도 유명하다. ‘제 정신이 아닌 사람들’… 그들은 거의 중년 이상의 남, 녀들이었다. 화가 자신도 좀 제 정신이 아닌 사람축에 들었다고 하는데, 그런 그림을 그리게 된 것에는 몇 가지 이유가 추정된다. 자신의 정신질환의 테라피라는 설이 가장 유리하다고 한다.
악덕기업에서 어쩔 수 없이 일하는 입장에서 노동이 신성하다고 말한다면… 쩝… 물론 부모님은 저에게 그렇게 말씀하시면서 악덕회사라도 절대 퇴사하면 안된다고 하시지만 이렇게 일하는게 과연 보람될까 라는 생각입니다.
좋아요좋아요
답변이 늦었습니다. 노동은 뜻 깊고, 신성하지만 역사가 그렇지 못했던, 지금도 그럴지 모르는, 인간의 악행을 보여줍니다.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 (Bad money spoils good money)’라는 말, 기억하고 있습니다. ‘내 것, 내 자식, 내 주머니’를 위해서 이를 악물고, 남의 것, 남의 자식, 남의 주머니를 탐내는 인간들이 곳곳에 있습니다. 우리들은 끈임없이 주위를 계몽 시켜야 하고, 한국이나 미국이나 민도를 높여야 하겠지요. 체계적인 abuse 를 없애기 위해서, 조용히 있어서는 안되겠지요. 힘네세요! 성실한 사람을 존경합니다. 아마 하느님께서도 축복하실 것입니다. Happy New Year!
좋아요좋아요